카테고리 없음

1. 지권의 변화 (수정중)

Yaong Foundation 2021. 12. 30. 16:15

1. 지권의 변화

1-1. 지구계와 지권의 층상 구조

1-1-1. 지구계

1. 지구계: 커다란 전체 안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구성 요소들의 모임

2. 지구계의 구성 요소: 지권, 수권, 기권. 생물권, 외권

지권: 지표면 + 지구 내부

수권: 바다(가장 많은 물), 빙하(육지 구성 물 중 가장 많음)

기권: 1000km 높이까지

생물권: 다양한 영역에 분포하여 살아감

외권: 기권의 바깥 영역 (ex. 태양, 달, 유성)

1-1-2. 지구 내부 조사 방법

직접적: 시추(땅파기), 화산 분출물 조사

간접적: 지진파 분석 연구

지진파 조사: 지구 내부를 가장 효과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

1-1-3. 지권의 층상 구조

지각, 맨틀, 외핵, 내핵

지각

-대륙 지각: 두께 약 35km, 화강암질 암석

-해양 지각: 두께 약 5km, 현무암질 암석(어두움)

맨틀: 부피 약 80% (가장 큼), 감람암질 암석

외핵: 유일하게 액체 상태로 추정, 무거운 철과 니켈로 구성

내핵: 고체 상태로 추정, 무거운 철과 니켈로 구성

(지권의 층상 구조 중 우리와 가까운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에 대해 공부하기~)

1-2. 암석의 순환

1-2-1. 암석의 분류: 암석은 생성 과정에 따라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으로 구분

화성암(火成岩, Igneous rock):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진 암석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식으면 심성암(深成岩, plutonic rocks): 결정 크기가 크다

지표면으로 나와서 빠르게 식으면 화산암(火山岩, volcanic rocks): 결정 크기가 작다

화산암인데 밝으면 유문암(流紋岩, rhyolite), 어두우면 현무암(玄武岩, basalt)

심성암인데 밝으면 화강암(花崗岩, granite), 어두우면 반려암(斑糲岩, gabbro)

그림으로는 심화반 화(이팅!) 유현(아). 로 외우면 됨. (단, 결정크기 / 암석의 색 조건이 기재된 위치에 주의할 것)

퇴적암(堆積岩, sedimentary rock): 퇴적물이 쌓여서 오랫동안 다져지고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1. 특징: 층리, 화석

층리[층층이(層/층 ) 쌓일 때 생기는 결(理/나뭇결 ), stratification]

stratification 명사

1. [count, noncount]

the state of being divided into social classes

social stratification/stratifications

2. [technical] [noncount]

the state of having many layers

the stratification of the Earth's crust

화석[fossil, 化石 = 돌이 된 것.] = 과거에 살았던 생물의 몸체나 흔적이 암석이나 지층 속에 남아 있는 것

역=자갈, 사=모래, 이=진흙 (한자어)

응회암[tuff, 凝灰岩(재(灰)가 응축(凝)된 암석]

변성암(變成岩, metamorphic rock): 암석이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변성되어 만들어진 암석

1. 특징: 엽리, 재결정

엽리: 암석이 압력을 크게 받을 때 압력의 수직 방향으로 광물이 배열되어 생기는 줄무늬. 편암과 편마암에서 잘 나타난다.

1-3. 광물과 토양

1-4. 지권의 운동

10강 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