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공부에 미쳐라
20대를 위한 자력갱생 프로젝트!『20대, 공부에 미쳐라』는 부와 성공에 직결되는 50가지 공부법을 소개하는 책으로, '88만원 세대'라 불리며 비좁은 취업의 문에서 불안해 하는 20대들을 위한 자
book.naver.com
44
사회생활에서는 정면 공격만이 능사는 아니다.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 상대를 연구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라. 그것이 새로움을 추구하는 방법이다. 여기에 당신 자신만의 독창성이 있는 것이다.
60
본받을 만한 사람을 역할 모델로 삼았다면 그 수준까지 도달하려고 노력한다.
61
지금 당신은 그 역할 모델과 큰 차이를 보이겠지만, 그를 경쟁자로 생각하고 일하라. 그 사람이 기획하고 처리한 업무에 대해 대안을 생각해둔다. '나라면 이렇게 했을 거야'라는 아이디어를 항상 생각해보는 것이다. 스스로 아이디어를 만들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63
일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초다.
모른다는 사실을 당당히 밝힐 수 있는 20대에 최대한 많은 것을 배워야 한다.
66
남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을 목표로 삼아라.
73
20대인 당신이 가려는 곳, 그 앞길에는 가능성이 넘쳐난다. 그러므로 '1년 후의 나', '3년 후의 나', '5년 후의 나', '10년 후의 나'와 같이 미래상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77
하루하루 '자신이 원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살라
20대에는 시간 낭비만큼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았다면 더더욱 자신의 장래를 위해 시간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장래를 위한 공부란 무엇인가? 그것은 '이상형의 자신'이 되기 위한 씨 뿌리기다. 장래에 해외에서 활동하고 싶다면 어학 실력을 갖추는 것은 기본이다. 영어뿐 아니라 제2외국어 하나 정도는 더 배워두는 편이 좋다. 어학 실력은 물론 회계나 법무 등 전문 분야의 능력까지도 길러두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단순한 통역 정도의 대우밖에는 못 받는다. 만일 구체적인 꿈이 없다면 지금 당장 생각해야 한다.
-도대체 무엇이 되고 싶은가?
-어떤 일을 하고 싶은가?
-장래 무엇을 하며 살고 싶은가?
~ㅠㅠ 지금은 되고 싶은 게 영어 일어 잘 하는 사람이고, 하고 싶은 게 영어 일어 공부밖에 떠오르지 않네.. 회계도 떠오르긴 하는데... 잘 모르겠다 ㅠㅍㅠ
79~80
퇴근 후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법
1. 정보 수집에 시간을 활용
예) 신문사/금융기관/제조회사 등 기업 주최의 강연회에서는 보고 듣고만 있으면 알기 쉽게 설명해주므로, 책 읽는 것보다 시간 대비 효율이 좋음.
2. 부업
3. 다른 업종의 교류 모임에 참가
86
업무 공간에서 벗어나 바깥 세상을 둘러보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답은 현장에 있기 마련.
98~100
신문은 비판적으로 읽어야 한다. 여러 신문을 보고, 조작에 속아 넘어가지 않도록 정보를 역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자.
유연한 사고를 하고 싶다면 신뢰할 수 있는 잡지를 보라. 상식이 깨진다.
자신에게 도움이 될 만한 프로그램도 녹화해서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도록 저장해놓자.
103~
20대부터 '재미있는 책'이 아닌 '좋은 책'을 가까이하라
20대부터 경제경영서와 인문교양서를 많이 읽어둘수록 좋다. 취업을 앞둔 대학생이나 신입사원은 비즈니스를 소재로 한 소설+유명 CEO나 거물급 인사들의 자서전이나 평전을 읽어두면 좋다.
106
그냥 질문하기보다, 내 평가/감상을 질문에 담아 물으면, 상대에게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회생활에서는 정면 공격만이 능사는 아니다.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 상대를 연구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라. 그것이 새로움을 추구하는 방법이다. 여기에 당신 자신만의 독창성이 있는 것이다.
60
본받을 만한 사람을 역할 모델로 삼았다면 그 수준까지 도달하려고 노력한다.
61
지금 당신은 그 역할 모델과 큰 차이를 보이겠지만, 그를 경쟁자로 생각하고 일하라. 그 사람이 기획하고 처리한 업무에 대해 대안을 생각해둔다. '나라면 이렇게 했을 거야'라는 아이디어를 항상 생각해보는 것이다. 스스로 아이디어를 만들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63
일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초다.
모른다는 사실을 당당히 밝힐 수 있는 20대에 최대한 많은 것을 배워야 한다.
66
남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을 목표로 삼아라.
73
20대인 당신이 가려는 곳, 그 앞길에는 가능성이 넘쳐난다. 그러므로 '1년 후의 나', '3년 후의 나', '5년 후의 나', '10년 후의 나'와 같이 미래상을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77
하루하루 '자신이 원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살라
20대에는 시간 낭비만큼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았다면 더더욱 자신의 장래를 위해 시간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장래를 위한 공부란 무엇인가? 그것은 '이상형의 자신'이 되기 위한 씨 뿌리기다. 장래에 해외에서 활동하고 싶다면 어학 실력을 갖추는 것은 기본이다. 영어뿐 아니라 제2외국어 하나 정도는 더 배워두는 편이 좋다. 어학 실력은 물론 회계나 법무 등 전문 분야의 능력까지도 길러두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단순한 통역 정도의 대우밖에는 못 받는다. 만일 구체적인 꿈이 없다면 지금 당장 생각해야 한다.
-도대체 무엇이 되고 싶은가?
-어떤 일을 하고 싶은가?
-장래 무엇을 하며 살고 싶은가?
~ㅠㅠ 지금은 되고 싶은 게 영어 일어 잘 하는 사람이고, 하고 싶은 게 영어 일어 공부밖에 떠오르지 않네.. 회계도 떠오르긴 하는데... 잘 모르겠다 ㅠㅍㅠ
79~80
퇴근 후 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는 법
1. 정보 수집에 시간을 활용
예) 신문사/금융기관/제조회사 등 기업 주최의 강연회에서는 보고 듣고만 있으면 알기 쉽게 설명해주므로, 책 읽는 것보다 시간 대비 효율이 좋음.
2. 부업
3. 다른 업종의 교류 모임에 참가
86
업무 공간에서 벗어나 바깥 세상을 둘러보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답은 현장에 있기 마련.
98~100
신문은 비판적으로 읽어야 한다. 여러 신문을 보고, 조작에 속아 넘어가지 않도록 정보를 역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자.
유연한 사고를 하고 싶다면 신뢰할 수 있는 잡지를 보라. 상식이 깨진다.
자신에게 도움이 될 만한 프로그램도 녹화해서 언제든 다시 볼 수 있도록 저장해놓자.
103~
20대부터 '재미있는 책'이 아닌 '좋은 책'을 가까이하라
20대부터 경제경영서와 인문교양서를 많이 읽어둘수록 좋다. 취업을 앞둔 대학생이나 신입사원은 비즈니스를 소재로 한 소설+유명 CEO나 거물급 인사들의 자서전이나 평전을 읽어두면 좋다.
106
그냥 질문하기보다, 내 평가/감상을 질문에 담아 물으면, 상대에게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07
정보력을 업그레이드하려면 흥미 대상을 한정하면 안 된다. 흥미 없는 영역일지라도 외면하지 말고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정보는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112
떠오르는 아이디어는 즉시 메모
아이디어를 충분히 검토하여 결론이 나올 최종 단계에서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들어볼 것. 아이디어의 진짜 가치를 파악하려면 전혀 다른 분야의 사람에게 자문을 구하는 게 좋음.
정보력을 업그레이드하려면 흥미 대상을 한정하면 안 된다. 흥미 없는 영역일지라도 외면하지 말고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정보는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112
떠오르는 아이디어는 즉시 메모
아이디어를 충분히 검토하여 결론이 나올 최종 단계에서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들어볼 것. 아이디어의 진짜 가치를 파악하려면 전혀 다른 분야의 사람에게 자문을 구하는 게 좋음.





118
기획안을 작성할 때는
핵심을 짧고 간결하게 한다.
기획안의 콘셉트를 알리는 키워드를 결정한다.
데이터나 도표 또는 일러스트로 보완한다.
시각적인 부분을 강조하면 한눈에 이해하기 쉽다.
포인트는 간결하게 요약한다. 되도록 3개 이내로
기획안을 작성할 때는
핵심을 짧고 간결하게 한다.
기획안의 콘셉트를 알리는 키워드를 결정한다.
데이터나 도표 또는 일러스트로 보완한다.
시각적인 부분을 강조하면 한눈에 이해하기 쉽다.
포인트는 간결하게 요약한다. 되도록 3개 이내로



129
표현력을 키우고 싶다면 어떤 주제라도 괜찮으니 혼자 딱 10분간 스피치하는 연습을 해보자. (소리내어 할 필요는 없음)
131
효과적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려면 내용도 중요하나 내용 이외의 요소에도 신경 써야 한다.
141
명함은 컴퓨터로 관리해라
저장된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하라
149
중요한 것은 자세이다. '아, 그런 일이 있구나'라는 자세로 제삼자처럼 대충 읽는다면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 신문은 교양과 일반상식을 배우는 수단일뿐 아니라 사업의 소재를 얻을 수 있는 도구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사의 진실보다는 그 소재를 어떻게 읽고 해석할 것인가라는 점을 명심하라.
157~158
스페셜리스트: 변호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경제학자, 증권 분석가, 자산 상담가, 스포츠 선수, 인간문화재, 장인 등
20대라면 처음부터 더블 스페셜리스트가 되기 위해 공부해야 한다. 두 가지 능력만이라도 제대로 갖춘다면 이후 여러 분야에서 계속 필요한 사람이 될 가능성이 크다.
159~160
천천히 꼼꼼하게 독창성을 키워라.
뉴스를 들으며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면 내 의견은 다르다는 독창성이 생김.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163~
새로운 정보를 많이 얻으려면 스터디 모임이라는 이름하에 정보 교환 모임을 만들면 된다.
처음엔 규모가 작은 모임을 만들자. 오래 계속할 수 있도록.. 혹은 만들어진 모임에 들어가자
173
따놓으면 좋은 자격중
1. 업무상 이 자격이 없으면 곤란한 것
2. 자신에 대한 평가가 올라가는 것 구체적으로 직위와 임금이 올라가거나 보상을 받게 되는 것
3. 자신의 꿈을 실현시켜주거나 꿈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것
자격증 따면 명예욕과 자기실현욕구 달성 가능
214
효율
일에 대한 의의를 모르고 억지로 하면 1
의의를 잘 이해하고 일을 하면 1.5~2배
스스로 계획한 일은 2.2~2.9배
역시 자기가 무슨 일을 할 때 왜 하는지를 알고 하는 게 정말 중요한 것 같다!!
또 理(理性の領域)と利(感情の領域)を合わせて考えた方がいい!!
그러면 일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ㅆㄱㄴ
표현력을 키우고 싶다면 어떤 주제라도 괜찮으니 혼자 딱 10분간 스피치하는 연습을 해보자. (소리내어 할 필요는 없음)
131
효과적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려면 내용도 중요하나 내용 이외의 요소에도 신경 써야 한다.
141
명함은 컴퓨터로 관리해라
저장된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하라
149
중요한 것은 자세이다. '아, 그런 일이 있구나'라는 자세로 제삼자처럼 대충 읽는다면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 신문은 교양과 일반상식을 배우는 수단일뿐 아니라 사업의 소재를 얻을 수 있는 도구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기사의 진실보다는 그 소재를 어떻게 읽고 해석할 것인가라는 점을 명심하라.
157~158
스페셜리스트: 변호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경제학자, 증권 분석가, 자산 상담가, 스포츠 선수, 인간문화재, 장인 등
20대라면 처음부터 더블 스페셜리스트가 되기 위해 공부해야 한다. 두 가지 능력만이라도 제대로 갖춘다면 이후 여러 분야에서 계속 필요한 사람이 될 가능성이 크다.
159~160
천천히 꼼꼼하게 독창성을 키워라.
뉴스를 들으며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면 내 의견은 다르다는 독창성이 생김.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163~
새로운 정보를 많이 얻으려면 스터디 모임이라는 이름하에 정보 교환 모임을 만들면 된다.
처음엔 규모가 작은 모임을 만들자. 오래 계속할 수 있도록.. 혹은 만들어진 모임에 들어가자
173
따놓으면 좋은 자격중
1. 업무상 이 자격이 없으면 곤란한 것
2. 자신에 대한 평가가 올라가는 것 구체적으로 직위와 임금이 올라가거나 보상을 받게 되는 것
3. 자신의 꿈을 실현시켜주거나 꿈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것
자격증 따면 명예욕과 자기실현욕구 달성 가능
214
효율
일에 대한 의의를 모르고 억지로 하면 1
의의를 잘 이해하고 일을 하면 1.5~2배
스스로 계획한 일은 2.2~2.9배
역시 자기가 무슨 일을 할 때 왜 하는지를 알고 하는 게 정말 중요한 것 같다!!
또 理(理性の領域)と利(感情の領域)を合わせて考えた方がいい!!
그러면 일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ㅆㄱㄴ
'서평 >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해 힘든 나에게 (2019. 11. 11. 20:14) (0) | 2021.12.20 |
---|---|
사상 최강의 철학 입문 (2019. 10. 27. 18:16) (0) | 2021.12.20 |
평생 독서 (2015. 10. 10. 21:07) (0) | 2021.12.20 |
십대, 책에서 길을 묻다 (2015. 10. 10. 20:38) (0) | 2021.12.20 |
세종대왕도 수학공부를 했을까? (2015. 8. 16. 21:32) (0) | 202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