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2

2023.1.28

1. 저녁에 일찍 잠이 와서 바로 자고 일찍 일어나서 어제 일을 반성하는 습관이 생겼다. 꽤 일찍 잘 수도 있으니까 그냥 아예 저녁 먹고 양치 후 바로 명상하고 하루 반성해두자. 2. N1 청해를 이렇게 극복하자. 1. 청해 문제 풀이 2. 대본 해석, 모르는 어휘 정리 3. 대본 섀도잉 3번 4. 대본 안 보고 처음부터 들어보기 5. 대본 섀도잉 3번 6. 몰랐던(틀린/애매했던) 문제 다시 풀이. 사고과정 교정 길고 길지만 이 6단계를 거치자. 3. 어려운 일을 가장 먼저 하자. 나중으로 미루는 경향이 있는데 그걸 없애자.

일기 2023.01.29

2023.1.27

올해 목표는 일본 문부성 학부1년코스 국비유학 시험 합격이다. 그러려면 -학점 최소 2.3이상 : 되도록 만점 받는 게 좋겠지. 학점 따기 쉬운 과목으로 편성하는 게 좋겠다. 미리 교재 사고 강의랑 기출문제를 공부해두자. 작년 강의 2회독>기출문제 1회독 (풀고 모르는 거 정리해두기)> 올해 강의 1회독+교재 3회독+... 공부해나가면서 작전을 계속 수정해보자. -2023.7 JLPT N1 만점: 169지만 180(만점)으로 만들어놓는 게 좋겠다. 청해가 부족하므로 청해부터 일단 해놓는 게 좋겠다. -2023.12까지 JPT 만점: 910이지만 990(만점)으로 만들어놓는 게 좋겠다. 매일을 전공+일본어에 모든 걸 쏟자. 독해력은 N1 기출, 교재 풀이>분석으로 기르는 게 수험적합도가 가장 높겠다. 이해..

일기 2023.01.28

2023.1.26

자기 전 10분 명상 요즘 까먹고 안 하고 있는데, 꼭 해야겠다. 라고 써놓았는데 또 안 했네. 19시 반에 너무 졸려서 자버렸다. 지금은 1.27 2:25임 ^오^ 대학 합격하고 너무 여러 정보가 들어와서 무기력해졌던 때도 있었고, 전날에 잠을 많이 못 자서 낮잠도 좀 잤었고, 생일이라 먹고 싶은 초밥 등을 아빠가 사주셔서 같이 먹고, 산책하고 나니 피곤해져서 바로 자버렸다. 자려고 하진 않았는데 전등키고 걍 누워버렸고 잠들었어. ;; 정보가 너무 많이 들어오면 '안 해' 하고 누워버리는 경향이 있는데, 내가 지금 뭐 해야할지를 확실히 깨닫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아주 작은 행동은 무엇일까?' 이렇게 질문하면 그나마 숨을 쉴 수 있을 것 같다. 앞으로는 너무 할 일이..

일기 2023.01.27

2023.1.25

플래너에 표시를 많이 안 했네. 그래도 계속 공부함. 특히 수학은 1문제 이해하느라 진땀을 뺐다. 물론 아직 설명하진 못 했다. 내일 마저 하자. 뭘 하고 싶은지 모르겠는 게 아니었다. 둘 다 하고 싶은 거였다. 일본 국비유학 (문부성 학부1년 유학)이랑 메디컬 입시. 욕심이 많다. 일본 국비유학이 가고 싶은 이유는 장학금 받으면서 공부하고 싶고, 또 일어를 할 때 행복함. 전생에 친일파였나 약대 가고 싶은데 약사는 전문직이고 세계에서 통용되는 자격증이라는 게 너무 매력적임 나중에 이민 가고 싶기 때문에.. 차라리 일본 약대를 가면 좋지 않겠냐고도 들었는데 금전적으로 너무 부담이 되서 불가능.. 그래서 한국 약대를 가고 싶은데 일본 유학도 가고 싶은 괴랄한 상황이다. 나는 저번에 '유학을 먼저 갔다오자'..

일기 2023.01.26

2023.1.24

독해 감을 잡기 위해, 일단 이해황T 인강을 3회독 해서 다 체화하자. 내멋대로 하는 독서는 제끼고 일단 인강부터 빠르게 듣자. 매일 할 것 일기쓰기 호수 1바퀴 국어 2강 일어 독해 1지문, 청해 1지문 수학 1문제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다만 수학에 시간 투자를 더 많이 해야겠다고 느꼈다. 내가 수학에 흥미가 없어서 공부를 안 했더니 못 하게 되고 점점 악순환에 빠졌던 것 같다. 흥미를 찾을 생각 하지 말고, 수학을 잘 하게 되면 자연스레 좋아하게 되니, 시간 투자를 먼저 압도적으로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고 욕심 부리지는 말고 하루 할 일은 아주 천천히 올리자. 그래야 부하가 덜 든다.

일기 2023.01.25

의욕과 집중력이 생기는 공부법

◆ 공부한 직후에 학습 내용을 다시 훑어본다. 첫 번째 복습(5~10분) ◆ 잠자기 직전에 오늘 공부한 내용을 전체적으로 복습한다. 두 번째 복습(30분~60분) ◆ 다음 날 아침에 어제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고 잊어버린 것을 재확인한다. 세 번째 복습(60분 정도) ◆ 주말에 일주일 동안 공부한 내용을 한 차례 복습한다. 네 번째 복습(시간이 허락하는 만큼) 전날 공부한 범위를 가볍게 복습하는 것으로 공부를 시작하면 좋을 것이다. 시험 전날이 되면 돌연 청소가 하고 싶어진다. 왜 그럴까? 사실, 이 심리는 ‘셀프 핸드캐핑(Self-handicapping)’이라는 방어본능 중 하나다. 자신이 실패하기 쉬운 상황을 미연에 만들어냄으로써 실패했을 때의 적절한 이유로 삼는 것이다. 실패했을 때에 ‘그럴 만한 이..

서평/자기계발 2023.01.03

공부 완성 독서법

말하기 전에 생각하고, 생각하기 전에 책을 읽으라 공부의 기본은 독서 의대에 합격한 한 학생은 1년에 무려 500권의 책을 읽었다고 합니다. 하루에 한 권 이상의 책을 꾸준히 읽었다는 이야기죠. -위원석 같은 분들이 책 한 권을 1일컷 할 수 있었던 이유를 알겠다. 그 분들은 독서를 많이 해서 아는 게 많았던 거야. 그러니 뇌 처리 속도가 엄청 빠른 거지. 공부 잘하는 학생이 독해를 잘하는 것이 아니라 독해를 잘하는 학생이 공부를 잘한다 카는 읽으면서 동시에 쓰기 시작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럴 경우 어떤 장점이 있었을까요? 쓰면 쓸수록 자신이 읽고 있는 것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내가 읽은 것을 내가 아는 것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되새김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것이 쓰기..

서평/인문 2023.01.01

내가 싫어질 때 읽는 책

자기혐오는 결과가 아니라 원인, 게다가 모든 불행의 근원입니다. ‘동경하는 사람’이라는 설정 자체가 불행의 시작입니다. 왜냐하면 동경은 자기혐오에서 비롯하기 때문입니다. 자기혐오가 없다면 동경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돈과 관계없이 하고 싶은 일만 한정해서 하면 당연히 돈은 없어집니다. 먼저 이 상태가 되어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돈이 없어져도 만나주는 사람하고만 만나서 꼭 하고 싶은 일만 합니다. 이 상태를 확대해서 돈을 늘여 나갑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기 주변의 인간관계를 자기혐오에 기초한 것에서 자애에 기초한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늘 자신의 감정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 이것이 자애로 향하는 길 결과를 추구하지 않을 때, 바라던 결과가 자연스럽게 따라붙습니다. 곤란할 때 서로 돕는 관계를 구축하..

서평/인문 2022.12.05

매일매일 긍정하라

운을 느끼는 사람은 일어나는 모든 문제를 자신 탓이라고 여기고 해결책을 강구합니다.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스스로 방법이나 사고방식을 바꿉니다. 따라서 확실히 실력이 길러집니다. 게다가 항상 ‘일어나는 모든 일은 자신의 장래에 밑거름이 된다.’고 믿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 눈에는 안 좋게 보이는 일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좋은 일로 바꿔버립니다. ‘저 사람이 나빠.’, ‘환경이 안 좋아.’라는 것은 참으로 안이한 해석입니다. 적을 만들어 공격하는 것으로 자신을 지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을 나쁘게 말하여 자신을 정당화하는 일은 운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의 뇌가 쉽게 저지르는 최악의 일입니다. 만약 운기를 상승시키고 싶다면 결코 머릿속에 적을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당신이 원망하고 있는..

서평/자기계발 2022.12.05